1. INTRO
저는 엑셀을 활용해서 매달 가계부를 쓰고 있습니다. 가계부를 쓰는 방법은 먼저 '뱅크샐러드' 등 가계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서 소득, 지출을 정리하고, 다음으로 매달 말일 집계된 내역을 누적해서 기록합니다. 2019년부터는 엑셀에서 피벗 테이블, 차트 등 여러 기능을 활용해서 한 눈에 볼 수 있는 대시보드를 아래 글과 같이 만들어보기도 했었죠.
나만의 엑셀 가계부
2017년 7월, 인턴으로 일하기 시작하면서 엑셀에 적어왔던 가계부가 쌓여가고 있다. 매년 새로운 시트에 파일로 정리해서 벌써 3번째 가계부를 거의 다 채웠다. 그러다보니 연도별 가계부 비교도
backingup.tistory.com
지금까지 사용하면서 큰 불편함은 없었지만... 엑셀에서 매크로를 사용하기에 불편함도 있었고 모바일에서 확인하기 어려운 점을 개선해보고 싶었습니다. 그런 생각에서 구글 스프레드시트로 개인용 가계부 DB를 만들어 놓고, 태블로나 구글 데이터 스튜디오를 활용해 시각화해보면 어떨까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2. DB(데이터베이스)란?
DB의 사전적 정의는 '여러 사람에 의해 공유되어 사용될 목적으로 통합하여 관리되는 데이터의 집합'입니다. 단순하게 설명하면 속성(attribute, 필드, 컬럼, 열)과 값(tuple, record, 행)으로 이루어진 표(테이블) 여러 개를 모아놓은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보통 각 테이블은 상호간의 다양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3. 데이터 고르기
먼저 DB가 갖춰져야 시각화가 가능할테니, 가계부 DB에는 어떤 데이터가 포함되어야 할까 고민을 해봤습니다.
저는 가계부를 월별 소득과 소비의 흐름을 보고자 작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매일 매일의 내역을 기록할 필요는 없습니다. (2017년 처음 가계부를 쓸 때는 하루 하루의 내역을 정리했었습니다. 하지만 너무 시간 소모가 크고, 그로 인해 얻는 효용이 크지 않다고 판단했습니다.) 따라서 지금처럼 매월 말일에 소득/소비를 항목별로 집계한 '월별 집계' 시트가 하나 필요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소득/소비 내역을 항목별로 집계하려면 항목 구분을 정의한 시트도 있어야겠죠? 앞서 작성했던 가계부 파일에서 사용했던 '환경설정' 시트를 활용하면 될 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는 작성한 가계부를 통해 확인한 나의 소득/소비 생활이 실제로 나의 자산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자산 내역' 시트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4. DB 만들기
엑셀 스프레드시트는 엑셀과 유사하게 하나의 파일에 여러 시트를 만들 수 있습니다. 저는 파일을 DB로, 시트를 테이블로 하여 엑셀 스프레드시트를 이용해 하나의 DB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월별 집계, 환경설정 시트는 엑셀로 만들었던 가계부 파일에서 가져왔고, 자산 내역은 가계부와 같이 매월 말일 작성했던 포트폴리오 엑셀 파일에서 가져왔습니다.
5. 향후 계획
다음에는 태블로 퍼블릭과 구글 데이터 스튜디오를 이용해서 이렇게 만든 DB를 시각화해보려고 합니다.
태블로 퍼블릭은 회사 업무로 태블로를 많이 사용해보았기 때문에 필터나 매개변수 등 기능을 이용하는 것이 익숙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워크시트와 대시보드를 만들면 공개되는 페이지에 저장(비공개로 처리 가능)해야한다는 점이 번거롭습니다. 반면, 구글 데이터 스튜디오는 사용 방법이 익숙하지는 않지만, 잠시 사용해본 경험으로는 구글 스프레드시트에서 데이터를 불러오는 것이 간편했고, 태블로보다 대시보드를 구현하는 UI가 간편했습니다.
저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서 제가 기록해왔던 데이터에서 조그마한 인사이트라도 얻을 수 있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가계부 내용을 공개하기는 어려우니 다음에는 그동안 기록해왔던 인바디 기록이나 자동차 차계부 등을 DB로 만들어 시각화해서 공유하고자 합니다. ^^
'빅데이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회 빅데이터분석기사 필기시험 결과확인 & 증빙자료 올리기 (0) | 2021.05.10 |
---|---|
태블로 퍼블릭으로 데이터 시각화 하기 (0) | 2021.05.05 |
제2회 빅데이터분석기사 필기시험 문제 복기 (0) | 2021.04.18 |
제2회 빅데이터분석기사 필기시험 후기 (2) | 2021.04.17 |
[R/시각화] Sankey Diagram (1) | 2019.12.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