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뷰

[P2P대출] 8퍼센트/렌딧/테라펀딩 투자 결과 정리

by 수퍼스타 2021. 2. 14.

[Intro]

2017년 여름, 인턴으로 일을 시작했던 당시는 P2P대출 업체가 하나씩 생겨나고 있던 때였다. P2P대출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대출이 필요한 채무자와 투자처가 필요한 채권자를 연결시켜주는 형태로 당시에는 파격적이었고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지지 않았다.

 

때문에 호기심 반, 투자목적 반으로 당시에는 가장 믿을만했던 세 곳의 업체를 통해 P2P투자를 진행했었다. 그리고 지금은 투자한 뒤 3년 이상 경과한 시점으로, 당시에 투자했던 결과들이 어느정도 정리가 되어서 기록해두고자 한다.

 

※ 본 리뷰는 P2P대출 상품에 투자를 권유하는 목적이 아니며, 투자 결과도 선택한 투자 상품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므로 단순 참고만 가능함을 알린다.


1. 8퍼센트

 

가장 먼저 P2P 투자를 시작했던 곳이다. 투자 상품에 따라 이자뿐만 아니라 채무자가 생산하는 제품이나 쿠폰 등으로 색다른 보상을 제공했던 것으로 기억한다. 2017. 8. 7.을 시작으로 '균형투자형' 자동분산투자 기능을 통해 건당 만 원씩 60건의 대출상품에 투자했다.

 

  • 누적투자원금 : 600,000원
  • 투자완료: 511,451원
  • 손실: 88,549원
  • 누적수익: 41,556원
  • 수익률(IRR, 세전): -11.25%

자료: 8퍼센트-투자요약

 

2. LENDIT 렌딧

 

렌딧의 특징은 5,000원 단위로 여러 개의 대출을 묶은 상품에 투자를 할 수 있고 상환은 최대 36개월이라는 긴 시간동안 나눠서 진행된다는 것이다. 2017. 9. 21.을 시작으로 '균형투자형' 자동분산투자 기능을 통해 총 112건의 대출상품에 56만 원을 투자했다.

 

  • 투자금액: 560,000원
  • 투자금잔액: 9,401원
  • 누적 지급원금: 516,130원
  • 누적 지급이자: 67,449원
  • 누적 연체이자: 464원
  • 세금: -5,570원
  • 투자 수수료: -5,612원
  • 추심 수수료: -1,708원
  • 누적 지금금액: 571,154원
  • 누적 연체원리금: 1,145원
  • 누적 손실금: 34,467원
  • 수익률(IRR, 세금과 서비스이용료 미반영): 5.45%
  • 서비스이용료: -1.21%
  • 세금: -0.92%

자료: LENDIT-지급내역

 

3. 테라펀딩

 

테라펀딩은 부동산에만 투자를 한다는 점이 다른 두 업체와는 달랐다. 부동산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가 많다보니 대출 상환이 연체되더라도 담보가 있다는 점에서 보다 안심이 갔고, 그런 이유로 가장 많은 금액을 투자하게 되었다. 2017. 11. 22.을 시작으로 일부 상품은 직접 선택했고, 일부는 자동투자(건당 10만 원)로 총 2,000,000원을 투자했다.

 

  • 총 투자금액: 2,000,000원
  • 누적 상환 금액: 2,000,000원
  • 투자평균 수익률(세전): 12.6%
  • 총 투자수익(세전): 157,025원
  • 플랫폼 이용료: 13,200원

자료: 테라펀딩-대시보드


[결과]

세 업체의 투자 및 상환 형태가 같지 않고 공개하는 정보도 기준이 다르다보니, 단순히 수익률만으로 비교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일단 원금을 전부 돌려 받았다는 점에서 테라펀딩에 가장 큰 금액을 투자한 보람이 있었다고 정리할 수 있겠다. 지난 3년 6개월 정도의 P2P대출 투자 결과를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다.

※ 렌딧에 투자한 금액 중 일부는 아직 상환이 진행중이므로 추후 변경이 될 수 있다.

 

댓글